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i_after":"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r\n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r\n
\r\n-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r\n- 공","sys_name":"손서연","sys_dt":"20220826112152","formatted_i_editdt":"2022.08.26 11:21:52"},{"i_id":"56498","i_field":"14","i_field_nm":"검색어","i_editdt":"20220826112152","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문학산,#심상공간,#공모전,#봄,#군사시설,#철창,#개나리,#역사,#문학산정상,#군부대,#꽃","i_after":"심상공간,공모전,문학산,봄,군사시설,철창,개나리,역사,군부대,꽃,문학산정상","sys_name":"손서연","sys_dt":"20220826112152","formatted_i_editdt":"2022.08.26 11:21:52"},{"i_id":"56498","i_field":"12","i_field_nm":"범위와내용","i_editdt":"20220519180700","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
\r\n\r\n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i_after":"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
\r\n\r\n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80700","formatted_i_editdt":"2022.05.19 18:07:00"},{"i_id":"56498","i_field":"16","i_field_nm":"","i_editdt":"20220519180700","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대표)생산자: 정상원, 20200300]","i_after":"[(대표)생산자: 정상원, 20210618]","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80700","formatted_i_editdt":"2022.05.19 18:07:00"},{"i_id":"56498","i_field":"12","i_field_nm":"범위와내용","i_editdt":"20220519180533","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r\n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i_after":"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
\r\n\r\n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80533","formatted_i_editdt":"2022.05.19 18:05:33"},{"i_id":"56498","i_field":"12","i_field_nm":"범위와내용","i_editdt":"20220519175934","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
\r\n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철은 결국 봄을 ","i_after":"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r\n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75934","formatted_i_editdt":"2022.05.19 17:59:34"},{"i_id":"56498","i_field":"12","i_field_nm":"범위와내용","i_editdt":"20220519175652","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r\n
\r\n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i_after":"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
\r\n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철은 결국 봄을 ","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75652","formatted_i_editdt":"2022.05.19 17:56:52"},{"i_id":"56498","i_field":"12","i_field_nm":"범위와내용","i_editdt":"20220519175540","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r\n\r\n\r\n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75540","formatted_i_editdt":"2022.05.19 17:55:40"},{"i_id":"56498","i_field":"2","i_field_nm":"제목","i_editdt":"20220519175540","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심상공간 문학산 정상","i_after":"문학산 정상","sys_name":"양지원","sys_dt":"20220519175540","formatted_i_editdt":"2022.05.19 17:55:40"},{"i_id":"56498","i_field":"2","i_field_nm":"제목","i_editdt":"20211209163021","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문학산 정상","i_after":"심상공간 문학산 정상","sys_name":"양지원","sys_dt":"20211209163021","formatted_i_editdt":"2021.12.09 16:30:21"},{"i_id":"56498","i_field":"12","i_field_nm":"범위와내용","i_editdt":"20211207151542","i_edittype":"1","i_edittype_nm":"수정","i_before":"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n\n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 등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감들을 모아보았습니다. \n\n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n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i_after":"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심상공간 문학산 정상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 공간의 위치 : 미추홀구 학익동에서 출발해 문학산 정상 올라가는 길
- 참여자 : 정상원
- 심상공간 소개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철은 결국 봄을 이기지 못하고, 낡은 말뚝은 쑥을 뜯는 아주머니 옆에 무색하다. 아, 봄!
-
기본정보
식별번호 |
MichuholCA-03-00000029 |
원본여부 |
원본 |
전자여부 |
전자 |
검색어 |
심상공간,공모전,문학산,봄,군사시설,철창,개나리,역사,군부대,꽃,문학산정상
|
등록일자 |
2021.11.02
|
-
생산정보
생산자 |
정상원 |
생산일자 |
2021.06.18
|
저작권 |
|
국내외 구분 |
국내 |
-
분류정보
목록으로
변경일시 |
2022.08.26 11:26:59 |
변경자 |
손서연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제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 |
변경후 내용 |
심상공간 문학산 정상 |
변경일시 |
2022.08.26 11:21:52 |
변경자 |
손서연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 |
변경후 내용 |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 공 |
변경일시 |
2022.08.26 11:21:52 |
변경자 |
손서연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검색어 |
변경전 내용 |
#문학산,#심상공간,#공모전,#봄,#군사시설,#철창,#개나리,#역사,#문학산정상,#군부대,#꽃 |
변경후 내용 |
심상공간,공모전,문학산,봄,군사시설,철창,개나리,역사,군부대,꽃,문학산정상 |
변경일시 |
2022.05.19 18:07:00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 |
변경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 |
변경일시 |
2022.05.19 18:07:00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
변경전 내용 |
[(대표)생산자: 정상원, 20200300] |
변경후 내용 |
[(대표)생산자: 정상원, 20210618] |
변경일시 |
2022.05.19 18:05:33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 |
변경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 |
변경일시 |
2022.05.19 17:59:34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철은 결국 봄을 |
변경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 |
변경일시 |
2022.05.19 17:56:52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
변경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철은 결국 봄을 |
변경일시 |
2022.05.19 17:55:40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
변경후 내용 |
문학산 정상의 군부대 철창을 타고 올라가는 꽃과 하늘을 촬영하고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 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철창. 그러나 쇠와 |
변경일시 |
2022.05.19 17:55:40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제목 |
변경전 내용 |
심상공간 문학산 정상 |
변경후 내용 |
문학산 정상 |
변경일시 |
2021.12.09 16:30:21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제목 |
변경전 내용 |
문학산 정상 |
변경후 내용 |
심상공간 문학산 정상 |
변경일시 |
2021.12.07 15:15:42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범위와내용 |
변경전 내용 |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 등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감들을 모아보았습니다.
작년 3월, 봄이 막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던 때. 국방부와의 협의를 거쳐 개방된 문학산 정상부,
오랜만에 찾았던 이곳에는 군사시설보호구역의 말뚝이 아직까지는 곳곳에 박혀 있었다. 막사는 역사관이 되고 초소는 오브제가 된 듯한 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
변경후 내용 |
[나만의 심상공간 in 미추홀 공모전 참여작] 심상공간은 나를 감성적으로 만드는 공간, 무언가 느껴지는 공간, 교감이 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보물같은 공간을 찾아보고, 공유하기 위해 미추홀구 속에서 나의 마음을 움직이는 다양한 공간들을 시민들과 함께 모아 보았습니다. - 공간의 이름 : 문학산 정상
|
변경일시 |
2021.12.07 15:15:42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검색어 |
변경전 내용 |
|
변경후 내용 |
#문학산,#심상공간,#공모전,#봄,#군사시설,#철창,#개나리,#역사,#문학산정상,#군부대,#꽃 |
변경일시 |
2021.12.07 15:15:42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
변경전 내용 |
[(대표)생산자: 정상원, 2021000] |
변경후 내용 |
[(대표)생산자: 정상원, 20200300] |
변경일시 |
2021.12.07 15:15:42 |
변경자 |
양지원 |
변경형태 |
수정 |
변경항목 |
디지타이징여부 |
변경전 내용 |
|
변경후 내용 |
변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