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제 : 신기촌에 대한 기억
• 목 적 : 근현대 3~40년간에 걸쳐 진행된 미추홀 신기촌과
신기시장의 역사를 사람들을 통해 기록
• 구 술 자 : 이태승
• 면 담 자 : 이경희, 조영숙
• 면담일자 : 2018년 11월 11일 오후1시
• 면담장소 : 영광교회 인근 카페
• 구술시간 : 50분 38초
• 구술내용 요약 : 62년생으로 주안동이 고향임. 주안동의 옛 지명이 ‘사미리’임.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의 자료를 수집하고 있음. 어머니 세대가 진흥요업에 근무했음. 초창기 사동에서 인구가 유입되었으며 주거 환경이 계속 변화함. 주안2동(몬머리)는 원래 구릉 지대이며 물이 많았음. 신기촌이 형성되며 5번 버스 종점이 신기시장이 됨. 본가는 주안3동으로 잠시 외부에 나갔다가 다시 인천에서 근무함. 개발로 동네가 변화하는 것에 아쉬움을 느낌. 학창시절부터 도서관에 많이 다님. 인천의 원주민으로서 지역에 대한 애정이 남다름. 지역에 애정과 주민의식을 가지고 잘 가꾸어나가야 함.
• 관리 파일(비공개)
1. 음성파일
식별번호 | MichuholCA-07-00001165 |
---|---|
원본여부 | 원본 |
전자여부 | 비전자 |
검색어 | 주안동,부평 이씨,집성촌,사미,사미 축제,학산학연구회,사진전,신기촌,화장터,중앙도자기,진흥요업,사동,몬머리,인주대로,수봉산,시민회관,신기사거리,5번 버스,본가,자원봉사,강사,2000년대,인천지하철,율목도서관,연수구,남동구,원주민,주민의식 |
등록일자 | 2022.08.11 |
구술자 | 이태승 |
---|---|
구술일자 | 2018.11.11 | 저작권 |
![]() |
국내외 구분 | 국내 |
소장처 | 미추홀학산문화원 |
---|
형태분류 | 구술류 |
---|---|
출처분류 | 미추홀학산문화원 사업 미추홀 기록 2018 기록프로젝트 '신기촌' 인터뷰 |
시기분류 | 2010년대 2018년 |
주제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