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탐색
인천향교 홍살문
  • 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위치한 인천향교의 홍살문 사진이다.

홍살문은 궁전·관아(官衙)·능(陵)·묘(廟)·원(園) 등의 앞에 세우던 붉은색을 칠한 나무문을 말한다.

신라시대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고려시대를 거쳐 유교국가인 조선시대에 많이 만들어진 나무 건축물로 출입문의 역할을 했지만, 출입의 기능보다 상징성이 더 중요시 되었던 문(門)이다. 형태는 한자 '門'의 형상에서 따온 것이다. 문이지만 주변에 담장이 없었기 때문에 방어를 하거나 출입을 통제하는 목적은 없다.
9m 이상의 둥근기둥을 지주석 위에 고정시키고 두 개의 기둥을 양쪽에 두고 문짝은 달지 않았다. 기둥과 기둥 사이 위에는 지붕이 없이 화살 모양의 뾰족한 나무를 나란히 박아 연결하고, 그 가운데에는 삼지창을 설치하거나 태극 문양을 설치했다. 하지만 태극문양과 삼지창이 없는 형태도 많다. 홍살문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기둥의 색을 붉은색으로 칠했고 상부에 설치한 화살모양의 나무살 때문이다. 붉은색은 악귀를 물리치고 화살은 나쁜 액운을 화살 또는 삼지창으로 공격한다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홍살문을 설치하는 곳은 서원이나 향교에 설치하였으며, 집안 재실에도 설치하였다. 또한 능과 묘에도 설치했으며 충신, 열녀, 효자 등을 배출한 집안이나 마을에도 홍살문을 설치하도록 했으며, 신성시 되는 장소를 보호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홍전문(紅箭門)·홍문(紅門)이라고도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촬영장소: 인천향교(문학동)
• 촬영일자: 2022년 10월 4일
• 사진크기: 5952x4480
• 사진장수: 1장

  • 기본정보
    식별번호 MichuholCA-03-00001459
    원본여부 사본
    전자여부 전자
    검색어 인천향교,문학동,홍살문,유형문화재
    등록일자 2022.11.24
  • 생산정보
    촬영자 최지은
    촬영일자 2022.10.04
    저작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국내외 구분 국내
  • 소장정보
    소장처 미추홀학산문화원
  • 분류정보
    형태분류 사진류
    출처분류
    시기분류 2020년대 2022년
    주제분류

    지역 행정구역 문학동

    지역 장소 문화유산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