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보


  • 1941년 경남 밀양 - 2016년 1월 15일
  • 1941년 8월 23일 경남 의령 유곡보통학교 사택에서 출생.
  • 1945년 8월 15일 사라진 일본인 교장 사택 지킴. 
  • 1947년 밀양초등학교 입학.
  • 1950년 한국전쟁 시기 청년들의 희생 목격.
  • 1953년 밀양중학교 입학 
  • 1956년 부산상고 입학
  • 1959년 서울대 상대 경제학과 입학
  • 1960년 4.19 혁명 시위 참여, 상대 선언문 작성, 전국 경제학과 토론 대회 대상.
  • 1963년 서울대 대학원 경제학과 진학
  • 1964년 「봉건제 사회의 해체에 관한 고찰-노동력의 사회적 존재 양식을 중심으로」석사논문.
  • 1965년 숙명여대 경제학과 ‘후진국개발론’ 강의. 새문화연구회 참여.
  • 1966년 이른 봄 청구회 어린이들과 처음 만남. 6월부터 육사 교관,‘경제원론',‘근대경제사' 강의, 9월 찰스P. 킨들버거의 『외국무역과 국민경제』 번역.
  • 1967년 청구회 6명, 청맥회 8명, 육사생도 6명 ’백운대 계곡‘으로 봄 소풍(수유리 만남)
  • 1968년 7월 25일 새벽 집에서 체포, 서대문 형무소 수감, 8월 24일 중앙정보부 통혁당 사건 발표
  • 1969년 1월 16일 육군 고등군법회의 사형 언도, 남한산성 육군교도소, 항소심 사형, 11월 11일 대법원 파기환송.
  • 1970년 상고 포기로 5월 5일 무기징역 확정, 9월 육군교도소에서 안양교도소로 이감
  • 1971년 대전교도소 이감, 노촌 이구영 선생(4년 한 방 스승), 정향 조병호 선생(1982년 2월부터 매주 서도) 지도.
  • 1986년 2월 전주교도소 이감
  • 1988년 7월 10일 평화신문에 '통혁당 사건의 무기수 신영복씨 편지‘ 연재 시작, 8월 14일 특별가석방 출소, 9월 옥중 서간 모음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출간, 11월 친구들 주선으로 세실레스토랑에서 [서예전]
  • 1989년 1월 10일 유영순 KBS PD와 결혼, 3월 성공회신학교에서 ’동양철학‘ 강의 시작, 12월 모친 이이구 여사 소천
  • 1990년 독자 모임 ’더불어숲' 시작. 아들 지용 출생
  • 1991년 3월 중국작가 다이허우잉의 [사람아 아, 사람아!] 번역 출간(다섯수레)
  • 1992년 [루쉰전-루쉰의 삶과 사상] 유세종 교수와 공동 번역 출간
  • 1993년 [엽서-신영복 옥중사색] 출간(영인본), 나카지마 아츠시의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사람들] 감역
  • 1994년 [中國歷代詩歌選集중국역대시가선집] 1~4권, 한학자 기세춘과 공동 번역 출간.  
  • 1995년 3월 17일~26일 학고재에서 서화전 개최, 서화작품집 [손잡고 더불어] 출간, 부친 신학상 선생 작고, 11월부터 국내여행기 '역사의 뒤안에서 띄우는 엽서' <중앙일보>에 연재 시작(1996년 8월까지)
  • 1996년 '더불어숲' 누리집 시작, 국내여행기 [나무야 나무야] 출간
  • 1997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세기를 찾아서' 세계 여행기 <중앙일보> 연재 시작(47회)
  • 1998년 3월 사면 복권, 5월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로 정식 임용, 6월 세계여행기 [더불어숲 1,2] 출간, 8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증보판
  • 1999년 <신영복 교수의 20세기 지구 마지막 여행>(KBS 방영)
  • 2000년 성공회대 민주사회교육원 원장 취임, 성공회대 노동아카데미 출범
  • 2001년 9월 '신영복 고전강독' <프레시안> 연재 시작(2003년 4월까지 166회)
  • 2002년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포럼 대표, 연구년으로 강원도 인제 미산계곡에서 지냄
  • 2003년 야후코리아가 주관한 <우리 시대의 지성인 베스트 5> 설문 조사 1위
  • 2004년 성공회대 대학원장 취임, 12월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출간
  • 2005년 6월 직지소프트에서 디지털 신영복체 개발, KBS 에 출연, [강의] 소개
  • 2006년 2월‘처음처럼’소주 출시, 두산주조와 크로스포인트 손혜원 대표가 브랜드 디자인 사례로 성공회대에 장학금 기탁, 서울대학교 입학식 축사, 바이칼 여행, 8월 정년 기념 콘서트, [신영복 함께 읽기] 출간.
  • 2007년 1월 서화 에세이집 [처음처럼] 출간, 2월 성공회대 교수들과 <함께 여는 새날> 서화전 개최, 7월 다큐멘터리 <신영복 교수의 금강산 사색> SBS 방영
  • 2008년 3월 제3회 임창순 상 수상, 6월 시민공간‘나루’건립후원 서화전, 7월 [청구회 추억](영한대역본)출간, 9월 성공회대 인문학습원 원장 취임,‘CEO를 위한 인문공부'과정 시작
  • 2009년 5월 서울대‘관악초청강연' 특강 및 토론, 10월 전국순회강연-‘신영복 교수와 더숲트리오가 함께하는 강연 콘서트' 시작
  • 2010년 12월 서울대 강연을 엮은 [신영복-여럿이 함께 숲으로 가는 길] 출간
  • 2011년 2월, 5월 시민단체와 더불어숲 주최 밀양, 전주 강연, 8월 성공회대 교수 서화전 <아름다운 동행> 개최(미등록학생 장학금 마련), 9월 강릉시민사회단체 위한 신영복의 이야기 콘서트‘강물처럼', 9~12월‘변방을 찾아서'<경향신문> 연재, 11월 더숲트리오와 전국 순회강연
  • 2014년 9~12월 네이버 포스트‘신영복의 언약’연재, 10월 성공회대 개교 100주년 <일만 벗의 아름다운 동행> 후원의 밤 및 서화전
  • 2015년 4월 [담론-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출간, 8월 만해문예대상 수상, 12월 [더불어숲] 개정판 출간
  • 2016년 1월 15일 자택에서 별세, 1월 18일 성공회대 학교장으로 영결식 엄수, 2월 [처음처럼] 개정판 출간, 4월 3일 밀양 선산에서 수목장, 5월 15일 사단법인 더불어숲(김창남 이사장) 출범
  • 2017년 1월 유고집 [냇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와 대담집 [손잡고 더불어] 출간, 성공회대와 구로구가 천왕산 일대에‘신영복 선생 추모공원'과‘더불어숲길’조성
  • 2018년 1월 신영복 선생 3주기 추모식 엄수, 서울시와 구로구가‘푸른수목원’내에 신영복 기념‘더불어숲도서관'건립 계획 발표
  • 2019년 12월 최영묵,김창남, [신영복평전-더불어숲으로 가는 길](돌베개) 출간.
  • 2020년 8월 15일 신영복 아카이브 누리집 임시 개통.
  • 2021년 1월 15일 5주기. 신영복 아카이브 누리집 개통.

 

 

 - 최영묵, 김창남, [신영복 평전-더불어숲으로 가는 길], 돌베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