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선(1944년생)&천선미(1964년생)
구술 아카이브
작성자 최지은 게시일 2022.06.02
  • 0

구술자 소개
구술자
이진선(1944년생)&천선미(1964년생) - 어머니는 충북에서 태어나 인천으로 시집와서 50여 년 넘게 살고 있고, 딸은 인천에서 태어나 미추홀구에서 살고 있다.
면담자
시민기록단 표기자
면담지원
시민기록단 조용희
구술 개요
주제
미추홀 시민의 음식 중 밥과 반찬-가정식(집밥)
목적
오랜 시간 미추홀구에 터를 잡고 살아온 사람의 음식 이야기를 기록하기 위해 구술인터뷰 진행
구술일자
2021년 10월 11일
면담장소
이진선 선생님 댁
구술내용 요약
미추홀구에서 산 지 20여 년, 고향이 내륙이라 생선을 안 좋아했음, 외식문화로 바뀐 현재, 요즘은 음식의 정체성이 없음, 옛날엔 다 같이 김장을 했다면 지금은 소수로 만듦, 평생에 걸쳐 먹게 되는 집밥.
구술 상세목록 내용
1. 고향 & 옛날 이야기
  • 충북 괴산에서 태어났고 오래 산 곳은 보은. 결혼 후 인천 용현동, 연수구, 동구를 거쳐 미추홀구에서 산 지 20여 년 됨.
  • 1.4 후퇴 때, 아버지가 가져온 큰 지프차를 타고 대구로 피난 내려감. 살다가 다시 올라옴.
  • 고모가 깜깜한 밤에 데리고 청산까지 걸어감. 무서웠던 기억.
  • 선산이라는 데로 가서 아래채 방을 얻어 지냄. 주인집에서 얻어먹은 총각김치가 맛있었음.
2. 인천에서의 추억
  • 딸: 송도유원지 쪽에서 아버지가 낚시로 망둥어를 잡아 바로 수제비를 해먹었던 기억.
  • 고향에선 생선이 흔치 않아서 별로 안 좋아했음. 남편은 인천 덕적도에서 살았어서 생선을 좋아해 식성이 안 맞았음.
3. 게장
  • 남편이 꽃게를 좋아해 소금게장을 담그는 법을 가르쳐줌. 지금은 간장게장으로 해먹음.
  • 생선보다는 채소 종류를 좋아함. 어렸을 때는 나물을 잘 안 먹었는데, 인천와서 먹게 됨.
4. 음식
  • 옛날엔 시어머니가 메주를 보내주시면 된장, 간장, 고추장을 담가 먹었음.
  • 음식을 만드는 방식은 그때 시절에 따라 바뀌었음.
  • 딸: 아버지 식성에 따라 어려서부터 생선을 먹어 좋아하게 됨.
5. 김치
  • 김장할 때 비린내가 덜 나는 멸치젓과 까나리를 사용.
  • 처음에 인천에서 김장을 할 때 남편이 넣으라는 대로 밴댕이, 전어, 새우젓 등 넣었는데, 맛있어서 나눠 먹었음.
  • 딸: 엄마와 가까이 사니 엄마 김치를 먹고 있음.
6. 달라진 모습
  • 결혼 초에는 100일이나 돌 때 주로 집에서 잔치를 했는데, 점차 외식 문화로 바뀌면서 모든 행사는 밖에서 함.
  • 외식은 돼지갈비, 만두 칼국수를 많이 먹음.
  • 딸: 나이 들면서 어렸을 때 먹었던 음식, 친정 엄마의 음식이 생각난다고 하는데, 요즘 아이들은 음식에 대한 정체성이 없어 어떤 음식을 생각할지 모르겠음.
7. 조리법
  • 요즘은 핸드폰에서 검색해서 조리법을 찾아보는 등 문화가 바뀜.
  • 딸: 나물의 경우 엄마는 전통적으로 무침을 많이 좋아하고, 본인은 볶아서 먹는 편.
  • 딸: 즐겨 먹는 음식은 매운탕이고, 결혼생활하며 시아버님이 먹다 보니 하게 되고 결국 좋아하게 됨. 주로 인터넷 레시피를 보고 만듦.
8. 달라진 풍속
  • 옛날에는 김장을 다 같이 모여서 많이 하고 나눠주기도 하고 했지만 지금은 아파트 생활을 하면서 아는 사람 한두 명하고만 함.
  • 외식을 많이 하다 보니 집에서 밥 먹는 횟수도 줄어듬. 그러나 외식을 하고 나면 합성 조미료 등 첨가되는 것들로 속이 편치 않을 때가 많음.
  • 집밥은 매일 먹어도 싫증이 안 나고 속이 편하기 때문에 평생에 걸쳐 먹게 되는 것 같음.
#태그
미추홀구, 괴산, 보은, 피난, 청산, 총각김치, 인천, 조개, 생선, 식성, 김장김치, 김치, 젓갈, 꽃게, 소금게장, 간장게장, 채소, 나물, 깻잎, 된장, 메주, 조리법, 조미료, 항아리, 소금, 외식, 돼지갈비, 칼국수, 박대, 음식, 레시피, 매운탕, 집밥
구술 진행 과정
※ 관련 구술 자료는 위의 과정을 클릭하거나, 아래 관련 기록물 클릭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